DevLog: 기록하는 생활

  • 이것이 코딩 테스트이다 공부

카카오 파괴되지않은건물 1

프로그래머스 파괴되지 않은 건물 92344 Java (level 3)

2022 KAKAO BLIND RECRUITMENT 문제자체는 굉장히 단순해 이해하기 쉽다. 헷갈리는 부분은 파괴된 건물이 다시 회복을 할 수 있다 정도이다. 문제 요약NxM Map에 건물이 각 칸마다 존재, 내구도 0이하 시 파괴 skill의 Type 에 따라 (r1,c1) - (r2,c2) 직사각형 범위에 degree 만큼 공격 혹은 회복  입력:건물 내구도 2차원 정수 배열 board(n,m 출력:최종적으로 파괴되지 않은 건물 개수를 return한다접근 방식m,n 이 각 100 이하 skill 행 개수가  250000 이하이므로 최악의 시간복잡도를 따져보면100*100*250000 이면 25억이되면서 시간초과가 발생할 수 있다.이때 매번 직사각형 범위에 degree만큼 값을 빼주고 더해주는 것이 굉..

Java/Algorithm 2025.02.28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DevLog: 기록하는 생활

코딩 지식이 오버플로우 될 때까지 꾸준히 배우고 기록합니다. githubID: eug2n2

  • 분류 전체보기 (34)
    • Python (4)
      • 이것이 코딩테스트이다 with 파이썬 (3)
    • Java (15)
      • Algorithm (10)
      • CS (3)
      • 자료구조 (2)
    • 트러블슈팅 (5)
    • DB (5)
    • BigData (2)
    • IT 용어 (3)

Tag

araylist linkedlist java, 플로이드워셜 행렬, 그리디알고리즘, ai 할루시네이션 정의, ai 할루시네이션 해결방안, 플로이드워셜 java, 알고리즘공부, CS, linkedlist 자바, 플로이드워셜 선형대수학, ai 할루시네이션이란, 파이썬공부, 캐시지역성, 도커, arraylist 자바, araylist와 linkedlist 차이, hashset 개념, hashset java, ai 할루시네이션 발생 원인, hashset 저장원리,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