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종 시스템(異機種 시스템, Heterogeneous System)이란?
이기종 시스템이란 서로 다른 종류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함께 작동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는 컴퓨터 공학(CS)과 IT 산업 전반에서 사용되며, 임베디드 시스템, 네트워크, 분산 컴퓨팅, 산업 자동화, 클라우드 컴퓨팅, AI/ML 시스템 등 여러 기술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즉, 다양한 기술 환경이 결합된 시스템을 뜻하는데, 예를 들어:
서로 다른 OS(운영체제) 간 연동
- Windows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Linux 서버의 데이터와 연동되는 경우
다른 종류의 하드웨어 간 연동
- 센서 장비(임베디드 시스템)와 일반 PC가 데이터를 주고받아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다른 소프트웨어 플랫폼 간 연동
- Python으로 만든 프로그램이 C++로 만든 프로그램과 통신하며 동작하는 경우
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최근 저는 소프트웨어를 맡아 크롤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펌프상태를 DB에 자동 저장하는 exe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습니다. 그리고 파트너 회사는 하드웨어적인 부분을 맡아 해당 DB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며 소프트웨어(크롤링 + DB 자동 저장)와 하드웨어(자동 제어 시스템)가 함께 작동하는 이기종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이기종 시스템을 검색하다보면 이기종 컴퓨팅이라는 개념도 나오는데요
이 두 가지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기종 컴퓨팅(Heterogeneous Computing)이란?
CPU, GPU, FPGA, ASIC 등 서로 다른 종류의 프로세서를 조합하여 연산을 최적화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즉, 각각의 프로세서가 잘하는 작업을 나누어 처리하여 성능을 높이는 컴퓨팅 기법입니다.
이기종 컴퓨팅의 필요성
- CPU만으로는 연산 속도가 부족할 때
→ 예: 대규모 데이터 분석, AI 딥러닝, 그래픽 렌더링 등 - 각 프로세서의 강점을 살려 최적의 성능을 내기 위해
→ 예: CPU는 일반적인 작업 처리, GPU는 대량의 병렬 연산, FPGA는 특수 연산 최적화 -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 GPU, FPGA는 특정 연산에서 CPU보다 전력 소모가 적으면서 성능이 높음
이기종 컴퓨팅의 주요 예시
프로세서 종류 | 역할 | 사용 예시 |
CPU (중앙처리장치) | 일반적인 연산, 논리적 처리, OS 운영 | 대부분의 프로그램 실행 |
GPU (그래픽처리장치) | 병렬 연산 최적화, 벡터 연산 강함 | AI 딥러닝, 게임 그래픽, 블록체인 |
FPGA (프로그래머블 칩) | 특정 연산을 맞춤 최적화 | 금융 데이터 처리, 네트워크 장비 |
ASIC (전용 칩) | 특정 연산만을 위한 고정된 하드웨어 | 비트코인 채굴, AI 가속기 (Google TPU) |
이기종 시스템과 이기종 컴퓨팅의 차이
이기종 시스템은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를 말하는 포괄적인 개념을 말합니다.
ex) 공장 자동화 시스템에서 센서(임베디드 장치) → Windows 서버(DB 저장) → PLC(장비 제어 시스템) 로 연동
이기종 컴퓨팅은 연산 방식을 의미합니다.
ex) AI 모델 훈련 시, 데이터 전처리는 CPU, 딥러닝 연산은 GPU에서 수행하여 성능을 최적화,
블록체인 채굴 시, ASIC + GPU 조합으로 빠르게 연산 수행
요약 정리
이기종 시스템 (Heterogeneous System) | 서로 다른 하드웨어/소프트웨어가 함께 작동하는 시스템 |
이기종 컴퓨팅 (Heterogeneous Computing) | CPU, GPU, FPGA 등 서로 다른 종류의 프로세서를 활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방식 |
'IT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할루시네이션이란? 원인/ 예시/ 해결방법 (0) | 2025.04.22 |
---|---|
양자컴퓨팅 / 큐비트/ 양자 게이트 (0) | 2025.03.21 |